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@Version
- 배타락
- 트랜잭션 락
- Controller 테스트
- DTO
- 디자인 패턴
- @Query
- 자바
- Entity
- 테스트 코드
- 공유락
- 비즈니스 로직
- Array
- 파스칼 케이스
- Service 테스트
- springDataJpa
-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
- 비링크
- jvm
- 스터디
- 낙관락
- 원시 자료형
- 스프링 부트
- Java
- 스네이크 케이스
- do...while
- 배열
- 자료구조
- Repository 테스트
- OOP
Archives
- Today
- Total
menuhwang
HTTP Status Code 정리 본문
HTTP Status Code
HTTP 응답 코드
1XX
100번 대 응답 코드는 잘 사용하지 않아 따로 정리하지 않음.
2XX
성공적으로 요청이 처리되었음을 의미.
- 200 [OK] : 처리 완료.
- 201 [Created] : 생성 완료.
- 204 [No Content] : 성공적으로 처리했지만 컨텐츠 제공이 없을 때.
3XX
리다이렉션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미.
아직 사용 경험이 없어 몇 가지만 정리.
- 301 [Moved Permanently] : 영구적으로 컨텐츠가 이동했을 때.
- 302 [Found] : 일시적으로 컨텐츠가 이동했을때.
- 304 [Not Modified] : 요청된 리소스를 재전송할 필요가 없음. 캐시된 자원 사용.
4XX
요청이 올바르지 않음을 의미.
- 400 [Bad Request] : 요청 자체가 잘못되었을 때 사용.
- 401 [Unauthorized] : '인증' 없이 접근할 경우 발생.
- 403 [Forbidden] :서버가 요청을 거부할 때 발생. 권한(인가)이 없을 때.
- 404 [Not Found] : 찾는 리소스가 없을 때.
- 405 [Method Not Allowed] : 서버에서 허용되지 않은 메소드로 요청시 사용.
- 415 [Unsupported Media Type] : 사용자가 요청한 미디어타입이 서버에서 지원하지 않는 타입일 때.
- 429 [Too Many Requests] : 일정 시간 동안 너무 많은 요청을 보냈을 때.
5XX
서버 오류.
클라이언트가 500번 대 응답을 받지 않도록 상황에 맞게 400번 대 응답으로 처리할 것.
- 500 [Internal Server Error] : 서버에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.
'스터디 > 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DBMS? NoSQL? (0) | 2022.08.28 |
---|---|
카멜 케이스, 파스칼 케이스, 스네이크 케이스 : 다양한 표기법 (1) | 2022.08.28 |
DTO, VO 비교 + Entity (2022. 08. 26 추가) (1) | 2022.08.23 |
URL URI 차이 [결론 못냄] (1) | 2022.08.22 |
프록시 패턴 : 디자인 패턴 (1) | 2022.08.20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