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자바
- 트랜잭션 락
- Array
- 비링크
- Repository 테스트
- Entity
- @Version
- 비즈니스 로직
- do...while
- @Query
- 파스칼 케이스
- Java
- 배열
- 배타락
- 스터디
- 낙관락
- 테스트 코드
-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
- 공유락
- 스프링 부트
- Controller 테스트
- 원시 자료형
- 스네이크 케이스
- 디자인 패턴
- jvm
- OOP
- DTO
- 자료구조
- springDataJpa
- Service 테스트
Archives
- Today
- Total
menuhwang
네트워크 공부 시작: OSI 7 계층, TCP/IP 본문
OSI 7 계층
OSI 7 계층은 개념적인, 추상적인 부분이다.
OSI 7 계층부터 깊이 파고들면 금방 지치기 마련이다.
TCP/IP
TCP/IP, HTTP가 실제로 사용되는 실체, 구현체라고 볼 수 있다.
우리가 사용하는, 사용할 TCP/IP 부터 공부해 보며 OSI 7 계층을 서서히 이해해 보도록 하자.
네트워크 공부에 앞서
컴퓨터의 구조에 대해 먼저 파악하자.
컴퓨터는 크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나눌 수 있고 소프트웨어는 커널 영역과 유저모드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나눠진다.
OSI 7 계층과 TCP/IP 계층 또한 이 구조를 바탕으로 이해할 수 있다.
네트워크 통신을 하는 프로세스를 컴퓨터 구조 레이어 위에 그린 그림이다.
앞으로 위 그림 2장을 바탕으로 진행되니 충분히 눈에 익혀두자.
소켓이란?
TCP를 유저모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스가 접근할 수 있도록 File 형식으로 추상화한 인터페이스.
커널 영역의 TCP에 접근하는 API를 Socket이라고 이해했다.
참고
'컴퓨터 공학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ost, Switch, Network (1) | 2023.12.05 |
---|---|
MAC, IP, Port (1) | 2023.11.24 |
Comments